주식 투자 스터디
마이클 포터의 다섯가지 경쟁요인
부되물림엄빠
2024. 2. 13. 09:55
반응형
주식 투자 할 때 산업 구조를 공부 하고 종목을 선정 하는게 좋다.
이 때 마이클 포터의 다섯가지 경쟁요인에 기반 하여 산업 구조 및 종목을 공부하면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.
마이클 포터(Michael Porter)는 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해 다섯 가지 경쟁요인을 제안했습니다. 이는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에 관한 프레임워크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. 다섯 가지 경쟁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입력 원가 (Bargaining Power of Suppliers):
- 공급업체의 입장에서, 그들이 특정 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이나 원자재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한 교섭력이 강화됩니다.
- 구매자 교섭력 (Bargaining Power of Buyers):
- 소비자나 구매자의 입장에서, 그들이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대체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한 교섭력이 강화됩니다.
- 대체품의 위험 (Threat of Substitute Products or Services):
-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존재하면 해당 업체에 대한 경쟁이 높아집니다.
- 신규 진입의 위험 (Threat of New Entrants):
- 새로운 기업이 시장에 진입할 때의 위험을 의미하며,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경우 경쟁이 높아집니다.
- 산업 내 경쟁의 정도 (Intensity of Competitive Rivalry):
- 현재 시장에 존재하는 기업 간의 경쟁 정도를 의미하며, 경쟁이 치열할수록 기업들은 더 많은 노력과 자원을 투입해야 합니다.
이러한 다섯 가지 경쟁요인은 '포터의 산업구조 분석'으로도 알려져 있으며, 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 내에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