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켄 피셔 투자 철학
켄 피셔는 본질적으로 **Top-down(거시 경제 및 섹터 전망) + Bottom-up(개별 기업 분석)**을 결합하는 스타일입니다.
- 성장과 가치 혼합형: 기술주 같은 성장주에 비중을 크게 두면서도, 배당주·에너지주·금융주 같은 가치주도 병행.
- 분산 투자 중시: 특정 종목 쏠림은 있으나, 전반적으로 섹터·산업·자산군 전반에 걸쳐 분산.
- 글로벌 시각: 미국 주식이 중심이지만 TSM(대만), SAP(독일), ASML(네덜란드) 등 글로벌 우량주도 보유.
- 롱텀(장기 관점): 단기 시황보다는 장기 성장성, 거시적 메가트렌드 반영.
2. 최근 수익률 분석 (첫 번째 이미지)
- 빅테크 강세:
- NVDA +10.75%, GOOGL +13.35%, AAPL +9.74%, CVX +9.84% 등 주요 빅테크·에너지 주식에서 높은 수익률.
- 반면 ASML(-8.0%), SAP(-11.47%), NOW(-14.70%) 등 일부 유럽/소프트웨어 기업은 손실.
- 에너지 섹터 호조: BP +15.43%, BHP +13.33%, COP +6.44% → 원자재·에너지 가격 상승의 반영.
- 금융주 양호: UBS +16.77%, MUFG +11.52%, C +9.49% → 금리 환경 속 은행/금융사 수익 증가.
- 약세 종목: 헬스케어(Lilly -8.74%, ISRG -13.53%), 리오프닝 소비주(Costco -1.91%, Starbucks -7.51%) 등은 상대적으로 부진.
👉 정리: AI/반도체/에너지/미국 금융주 중심의 강세 포트폴리오. 다만 유럽 소프트웨어·헬스케어는 약세.
3. 최근 매매 동향 (두 번째 이미지)
- 대규모 매도:
- NVDA (-$1.30B), MSFT (-$447.8M), JPM (-$863.75M), LLY (-$883.59M) → 기존 대형주 일부 차익 실현.
- META, NFLX, TSM, INTU 등도 감축.
- 대규모 매수:
- VCIT(+398.98M), IEF(+255.60M), ASML(+200.58M), SONY(+423.78M), SAP(+353.86M), SPOT(+353.05M).
- 즉, 채권 ETF(VCIT, IEF)와 일부 유럽·일본 우량주를 확대.
- 섹터별 리밸런싱:
- Tech 비중 일부 축소(특히 NVDA, MSFT)
- 헬스케어 일부 축소(LLY, ISRG)
- 채권 및 안정적 배당주 비중 확대
👉 정리: 차익 실현 + 채권 편입 강화 + 해외 우량주 확대 전략.
4. 투자 전략 관점 해석
- 리스크 관리:
최근 AI/테크 강세로 급등한 종목에서 이익을 실현하고, 채권으로 포트폴리오 방어력을 강화. (금리 인하를 염두에 둔 포지셔닝 가능) - 글로벌 분산 강화:
미국 Big Tech → 일본(SONY), 유럽(SAP, ASML), 글로벌 금융주 비중 확대. - 밸류에이션 고려:
과열된 성장주에서 일부 자금 회수 후,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전통 IT·산업재·채권 쪽으로 이동. - 사이클 대응:
경기 사이클 후반기에 대비해 **디펜시브 자산(채권, 배당주)**을 늘리고, 여전히 장기적으로 유망한 글로벌 혁신 기업은 유지.
✅ 결론: 켄 피셔의 포트폴리오는 현재 ‘차익 실현 + 방어적 포지션 강화 + 글로벌 다변화’ 국면에 있습니다.
AI/반도체 같은 핵심 성장주는 여전히 보유하지만, 채권 및 해외 우량주 비중을 늘려 균형과 안정을 추구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네요.
반응형
'주식, 투자 공부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8월 16일 — 미국 주식시장 속보 TOP 5 (3) | 2025.08.17 |
---|---|
투자 대가 철학 + 종목 추천 / 벤저민 그레이엄 (3) | 2025.08.17 |
워렌 버핏이 매수한 유나이티드헬스(UNH) (4) | 2025.08.15 |
오늘의 미국 주식시장 속보 TOP 5 (6) | 2025.08.14 |
미국 증시, AI와 금리 기대감 속 흔들림… 오늘 꼭 알아야 할 5가지 뉴스 (4) | 2025.08.11 |